현존 옛 한글비석 5개 중 유일하게 한글로만 제작
문화해설사와 함께하는 경북의 재발견 - 33.문경 조령 산불됴심 표석
올해로 벌써 한글이 창제된 지 564년이 흘렀다. 세종대왕이 모든 백성들에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문자를 만드신 세월이 벌써 반천년이 넘어 버린 것이다.
굳이 한글이 창제 된 것을 기념하자고 이러한 이야기를 하는 것은 아니다. 1446년 세종임금께서 백성을 어여삐 여겨 훈민정음을 반포하신 이후부터 구한말까지 이 땅위에 만들어진 한글비석이 과연 몇 개나 되는가?
현재 우리나라에 4점밖에 되지 않는다. 믿어지진 않겠지만 더구나 일본에 있는 한글비석 1기 까지 합하면 이 지구상에 한글 창제 후 구한말까지 조선조 반천년 동안 만들어진 한글비석은 단 5기인 셈이 된다.
이런 사실을 모르기전까지 별로 대단치 않게 생각할 수도 있었겠지만 아마도 이 글을 읽는다면 모두의 생각이 기가 막힐 것이다.
△서울 노원구 '한글 영비'
국내에 한글비석 중 유일하게 건립연대를 알 수 있는 석비는 서울시 노원구 하계동에 있는 '한글 영비(靈碑)'다.
조선 중종 31년(1536년)에 세운 이 비석은 1974년 서울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됐고, 2007년 보물 1524호로 승격됐다.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이 비석은 높이 142㎝, 폭 63㎝, 두께 18㎝ 규모다.
한글 영비는 조선 전기의 유일한 한글 비석으로 중세 국어와 서체 연구에 귀중한 가치를 지닌 점을 인정받았다.
한글영비는 비석의 왼쪽에 한글로 두 줄짜리 글귀가 새겨져 있다. '신령한 비라 쓰러뜨리는 사람은 재화를 입으리다. 이를 글(한문) 모르는 사람에게 알리노라'는 내용이다.
비석을 세운 묵재(默齋) 이문건(1494~1567) 공이 사람들에 의해 비석이 훼손되지 않도록 경고한 것이다.
△경기도 포천 인흥군묘 표석
또 다른 한글 표석은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양문리에 위치한 선조의 제12왕자 인흥군(仁興君) 이영(李瑛·1604~1651)의 묘역 입구에 있는 한글 고비이다.
이 비석의 북쪽면 하단부에 20자 5행으로 한글 고어체로 '이비가극히녕검니심도사람이거오디말라'라는 말이 새겨져 있다.
'이 비가 극히 영검하니(영묘한 위력이 있으니) 생심도(어떠한 생각으로라도) 사람이 거오하지(거만스럽게 낮추어 보지) 말라'는 뜻이다. 이영의 묘비가 1682년(조선 숙종 8년)에 건립됐으므로, 한글 표석은 그 이후에 건립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경남 진주 의곡사 한글 비석
이외에 또 하나의 한글 비석은 경남 진주의 진산인 비봉산 자락 의곡사 입구에 오른쪽 산밑에 세워진 비석으로서 한자(父母生天目連經 南無阿彌陀佛塔)와 한글(부묘쇵쳔목연경)이 함께 새겨진 비석이다.
ㆁ(옛 이응)을 쓰지 않은 것으로 보아 임진왜란 이후 근현대 사이의 새김이며, '텬'이 구개음화한 '쳔'으로 새긴 것은 1700년 전후부터이니, 비석의 건립연대를 알 수 있는 실마리인 병진년(丙辰年)의 단서는 1736년, 1796년 가운데 하나가 아닌가 한다.
△일본 지바현 한글 비석
일본에 있다는 한글 비는 지바현 다테야마(館山)시에 있는 불교사찰 다이간인(大巖院) 정문에서 법당으로 들어가는 길목에 자리 잡은 사면석탑이다. 여기에 중세 한글 표기가 새겨져 있다.
높이 2m19㎝의 사면석탑은 외양이 비석에 가깝다. 동서남북 네 면에는 각각 한글과 중국의 전서체 한자, 일본식 한자, 산스크리트어로 각각 '나무아미타불'이 새겨져 있다. 또 북쪽에는 1624년 야마무라 모헤이(山村茂兵)란 사람의 시주로 세워졌다는 간략한 유래가 씌어 있다.
△문경 조령 산불됴심 표석
마지막으로 경북 문경시 문경읍 상초리 조령(鳥嶺)에 있는 조선 후기의 산불됴심 표석은 지금까지 소개한 비석과는 달리 자연석에 큼지막한 글씨가 새겨져 있으며 다른 한글비와는 내용면에서도 전혀 다르다.
문경새재는 조령산(1천17m)과 주흘산(1천106m) 사이에 난 사잇길이다. 천년의 세월 속에 만들어진 길이다 보니 숱한 사연과 유적이 많이 남아 있는 곳이다.
특별한 의미를 둔다기보다 우리나라 산명(山名) 중에 '흘(屹)'자가 들어간 산을 보았는가? 아마도 주흘산이 유일하다 할 수 있다. 흘자는 '산이 우뚝 솟아 있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산 중에 가장 우뚝 솟아 있다는 뜻이다. 산의 높아서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왕은 이 세상에서 가장 키 큰 사람이 해야 한다는 말과도 같은 말이 될 것이다.
아마도 국토의 중심부에 있는 사찰이면서 동서남북의 정중앙 방위에 속하는 의미로 보아야 할 것이다.
문경새재에 있는 산불됴심 비석은 1990년 8월 7일 경북도문화재자료 제226호로 지정됐으며 높이는 157㎝, 저변 75㎝, 정상 55㎝, 저변둘레 255㎝, 중간부 둘레 92㎝이다.
각자(刻字)는 평균 0.5㎝의 깊이로 음각돼 있으며 크기는 가로 30㎝ 내외 세로 27㎝ 내외이다.
정확하게 시대를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됴심→ 죠심→ 조심'의 과정을 겪는 한글 변천과정에 비춰볼때 '됴심→ 죠심'은 18세기 이후에 생긴 구개음화현상이요, '죠심→ 조심'은 19세기 이후에 생긴 단모음화 현상이기 때문에 '산불됴심'은 지금으로부터 약 200년 전후인 영·정조 무렵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령 별장이 잡인의 통행을 단속할 때 역시 관방(關防) 유지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산불조심이 급선무였으므로 서민이 잘 알 수 있도록 한글비를 세웠을 가능성과 주흘산이 주산으로서 국가의 제사를 담당했기 때문에 그 중요성으로 인해 한글비를 세우지 않았나 생각한다.
여하간 자연보호의 시금석(始金石)이고 조심을 고어인 '됴심'으로 기록한 것으로 보기 드문 순수 한글비다.
"주흘산 영험 지키려 '산불됴심' 세운 듯"
엄원식 문경시 학예연구사의 견해
전국의 어느 곳에도 없는 조선시대 '산불됴심' 표석이 왜 하필이면 문경땅 주흘산(主屹山)에 있을까?
언제 누구에 의해 설치됐는지 정확한 문헌과 기록을 찾을 수는 없지만, 분명 예사스럽지는 않아 보인다.
이와 동일한 한글 비석이 전국에 단 몇 개라도 남아 있었다면 산불 조심의 중요성을 일깨우기 위해 설치된 비석임을 잘 알 수 있는데, 유일하게 문경 밖에 없으니 이해하기가 쉽지는 않다.
산불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식목행사의 기록에는 식목일의 기원은 신라가 당나라를 물리치고 삼국통일의 성업을 이룩한 날 (문무왕 17년 2월 25일·양력 4월 5일)이며, 조선 성종대왕이 세자와 문무백관을 거느리고 동대문밖 선농단에 친사하고 적전을 친경한 날(성종 24년 3월 10일·양력 4월 5일)로서 청명과 한식날이 이날과 겹치거나 전후해 있으므로 조상에게 성묘하고, 주변의 산이나 들에 나무를 심었던 것이 유래가 됐다고 한다.
주흘산은 조선초부터 소사(小祀, 국가적인 제사)의 대상으로 분명하게 자리매김한 기록이 여러곳에서 보이며 특히 주흘산 관련 기록은 실록에 모두 7번 등장하는데 태종 14년(1414) 1건, 세종 오례(五禮) 1건, 세종지리지 2건, 세조 1년(1455) 1건, 세조 2년(1456) 1건, 성종 25년(1494) 1건, 선조 37년(1604) 2건 등이다.
이들 기사에서는 국행 소사 (國行 小祀)로서 주흘산의 위상을 규정하는 한편 특히 기우(祈雨)에 영험한 주흘산에 중앙의 관리를 보내 치제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렇듯 주흘산은 보통산이 아닌 국가에서 제를 올리는 신령한 장소로 알려져 있었으며, 민간신앙도 이곳에서 많이 자생한 것이다.
이러한 산에 만약 산불이 일어난다면 어떻게 되겠는가? 가히 끔찍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어찌보면 국가의 존망과도 절대 무관하지 않다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간절한 기도처가 불이 나지 않도록 예방을 한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처사라 할 수 있다. 하루에도 수천명, 많게는 수만명이 문경새재내 '산불됴심' 표석 앞을 지나고 있다. 무심결에 지나간 그 비석이 국내에서 가장 유일한 오리지널 한글비석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면 더욱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다가올 것이다.
출처 : http://www.kyongbuk.co.kr/main/news/news_content.php?id=502022&news_area=120&news_divide=&news_local=36&effect=4
'기타정보 > 기타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석 명절술로 ‘황금주’ 담가보세요 (0) | 2010.09.08 |
---|---|
식품! 질병치료 등의 허위·과대광고에 현혹되지 마세요! (0) | 2010.08.28 |
마을나무 영월 하송리 은행나무에 소원을 빌어보세요 (0) | 2010.08.17 |
해외인터넷 판매 성기능개선 제품 등 주의! (0) | 2010.08.13 |
「한국의 역사마을 : 하회와 양동」세계유산 등재 (0) | 2010.08.01 |